‘꿈의 소재’ 그래핀 데뷔 20년… 이젠 상용화로 가나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꿈의 소재’ 그래핀 데뷔 20년… 이젠 상용화로 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12-03 13:35

본문

‘대량생산 벽 넘기연구 활발

2004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연구팀이 스카치테이프로 흑연을 붙였다 뗐다 반복하는 방법으로 그래핀을 분리해내는 데 성공하면서 처음으로 실체가 확인됐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전자 이동성이 100배 이상 높고 강철보다 200배 강한 물질로 분석되면서 큰 기대를 모았다. 구부리거나 늘려도 전류가 변함 없이 흐르고 빛의 약 98%를 투과시켜 투명성도 탁월하다.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두루마리처럼 돌돌 말아 쓰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고, 실리콘을 대체하는 반도체 소재로 쓸 수 있다는 전망이 쏟아졌다. 우주 엘리베이터와 태양광 우주 범선의 필수 소재로 그래핀이 지목됐다. 심지어 그래핀으로 투명 망토도 만들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가임과 노보셀로프는 그래핀을 발견한 공로로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지 6년 만에 초고속으로 노벨상을 거머쥔 것이다. 유럽연합은 2013년 연구 컨소시엄그래핀 플래그십을 출범시키며 향후 10억유로( 15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고, 영국도 2015년 국립 그래핀 연구소를 열고 1조원 이상 투입했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최근 그래핀 20년 분석에서 당시에 대해각국 경쟁으로 수십억 달러 이상 연구 개발 자금이 그래핀 분야로 투입됐다그래핀의 잠재력이 지나치게 부풀려진과대 포장시기였다고 평가했다.

그래핀에 대한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스카치 테이프로 붙였다 떼었다 하는 식으로는 그래핀을 대량생산하기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금속을 촉매로 활용해 고온에서 반응시키는화학적 증기 증착법으로 그래핀을 합성할 수 있게 된 이후에도 천차만별인 그래핀 품질이 상용화의 걸림돌이었다. 이에 과학기술계는 여러 층으로 쌓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산화 그래핀 등을 개발해 산업에 적용하고 있다. 단층 그래핀의 유연성과 강도 등 고유 특성에는 맞먹지 못하지만 선박 코팅, 강화 콘크리트, 바이오 센서, 전기차 배터리 등에 쓰고 있다. 전자파 차단, 오염수 정화로도 용도를 확대 중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단층 그래핀을 약 1.1도 비틀어 2층으로 쌓아 올렸더니 전기가 저항 없이 흐르는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고 발표했고, 올 초 미 조지아공대 연구진은 실리콘보다 전자 이동성이 10~20배 높은그래핀 반도체를 최초로 개발해 관심을 모았다.

투자 열기가 차갑게 식었던겨울을 두 차례 견디고 화려하게 꽃피운 인공지능(AI)처럼 그래핀도 폭발적 성장을 앞뒀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실리콘 트랜지스터가 첫선을 보인 뒤 인텔의 반도체 출시로 본격 상용화까지 20년 가까이 걸린 점을 예로 들며, 올해로 스무 살이 된 그래핀의 전성기도 곧 온다는 것이다. 반면 그래핀이 상용화되기까지는 품질 균일성, 대량생산 비용, 환경 문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장밋빛 전망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품질 단층 그래핀 대량생산이 어려운 상황에서 사실상 흑연에 가까운가짜 그래핀으로 현혹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조산일보, 2024. 11. 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협회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호 : (사)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ㅣ 사업자등록번호 : 511-82-07061

TEL : 070-4912-0047 | FAX : 070-7713-0047 | E-mail : goldfield2@naver.com

Copyright © 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