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 스마트팜' 실험 나선 CJ프레시웨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06-01 22:41관련링크
본문
식자재 유통업체 CJ프레시웨이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계약 재배를 확대하고 있다. 노지에 스마트 농법을 접목해 이상 기후, 원재료 가격 상승, 노동력 부족 등 농산물 수급에 영향을 주는 위기 요인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일반 농가와 계약해 감자, 양파, 마늘 등을 재배하는 면적은 지난해 4만9586㎡에서 2025년까지 5배로 늘리기로 했다.
◆매출 70%가 식자재 유통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CJ프레시웨이는
작년 1~3분기 매출의 74%를 식자재 유통 부문에서 냈다.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 구내식당,
어린이집 등이 주 고객이다. 감자, 양파 등
농산물 원물과 소스 등 가공식품, 자체브랜드(PB) 밀키트
등을 공급하면서 매출이 발생하는 구조다.
CJ프레시웨이가 ‘스마트 농업 계약재배’ 사업에 나선
건 지난해부터다. 농산물 가격 변동 폭이 최근 몇 년 사이 확대되자 안정적 식재료 공급처를 마련하는
게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글로벌 물류 대란과 이상 기후로 일부 국내 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버거에서 토마토를 빼거나 버거
세트 메뉴에 감자튀김을 넣지 못하는 사태를 겪은 게 대표적이다.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국내산 감자는 작년 4월
평균 도매가격이 ㎏당 2728원까지 치솟았다. 연 저점(7월·1252원)보다 두
배 이상 비쌌고 1년 전(2022년 4월·2398원)보다는 13.7% 상승했다.
◆시설 재배 아닌 노지 재배
스마트팜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 일반 농민보다는 ‘기업농민’이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대형마트 등 소매 채널이 엽채류나 과일 등 고수익 작물 위주로 계약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와 달리 CJ프레시웨이는
노지에서 농사를 짓는 일반 농민과 식자재 유통기업이 협업하는 모델을 구축했다. 양파, 마늘, 감자 등 노지 작물이 대상이다. 국내산 수요가 많고 B2B(기업 간 거래) 식자재 시장에서 비중이 큰 게 특징이다. CJ프레시웨이가
유통하는 160여 종의 농산물 중 세 작물의 매출 비중은 11%를
차지한다.
노지 스마트팜은 농업기술기업과 협업해 각종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온도, 습도, 일사량, 토양 수분함유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재배자는 환경에 맞춰 농업용수, 비료, 농약 투여량 등을 조절한다.
재배 데이터를 축적해 해당 지역에서 잘 자라는 작물을 파악하면 생산성도 극대화할 수 있다.
작년 6월 경북 의성군과
충남 당진시 총 1만6528㎡ 노지에서 수확한 스마트팜 감자는 CJ프레시웨이가 시가 대비 낮은 가격에 유통했다. 충남 서산시의 2만6446㎡ 양파밭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의 마늘밭 6611㎡에서도 작년 5~6월에 걸쳐 작물을 수확한 뒤 유통을 마쳤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정부가 농촌 디지털 전환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재배
규모를 늘려갈 것”이라며 “올해는 13만2231㎡, 내년에는 24만1322㎡까지 스마트팜 계약 재배 면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국경제, 2024.
1. 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