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처럼 사고하는 '멀티 모달 AI'…주문대로 척척 그림 그려 >   - 4차산업혁명ㆍ디지털융합

본문 바로가기

  - 4차산업혁명ㆍ디지털융합

인간처럼 사고하는 '멀티 모달 AI'…주문대로 척척 그림 그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3-04 15:17 조회673회 댓글0건

본문

인류가 다른 포유류와 달리 문명을 건설하고 도구를 사용하면서 과학이라는 성과를 내놓았던 데에는 지구상의 여러 개체와 차별화되는 특징이 큰 역할을 했다고 봅니다. 첫 번째는 바로 ‘언어’예요. 텍스트로 소통하고 기록하면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죠. 두 번째는 다양한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뇌의 처리능력’이에요.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후각과 미각, 통각을 비롯한 다양한 감각과 기억을 융합하면서 사물을 받아들이는 ‘지식 통합 능력’이에요. 예를 들면 인류는 이렇게 사과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시각과 미각, 촉각, 텍스트까지 여러 개념을 통합해서 인식했죠. 그렇다면 우리가 만드는 인공지능(AI)은 어떻게 사과라는 개념을 받아들일까요. 이왕이면 인간이 학습했던 방법으로 배워야 인간과 제대로 소통할 줄 아는 AI가 되겠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멀티 모달리티(multi modality)’입니다. ‘모달리티’는 양식, 양상이라는 뜻인데요, 보통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이나 그것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말합니다. 지금의 ‘멀티 모달’은 시각, 청각을 비롯한 여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말하는 개념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채널의 모달리티를 동시에 받아들여서 학습하고 사고하는 AI를 ‘멀티 모달 AI’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인간이 사물을 받아들이는 다양한 방식과 동일하게 학습하는 AI라고 볼 수 있겠네요. 기존에 우리가 개발한 AI는 텍스트나 자연어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인류가 만든 가장 많은 데이터는 글로 남겨진 텍스트였고, 사람이 주고받는 언어를 이해하는 자연어 분석(NLP)이 전제돼야 명제와 추론을 할 수 있다고 본 거죠. 우선은 사람이 하는 질문을 이해해야 답을 내놓을 수 있기도 했고요.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AI는 실제 그 단어가 의미하는 것이 어떻게 생겼고, 실제 세상에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남자가 말을 타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탄다(ride)’라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말의 크기가 얼마만 한 것인지, 어떤 형태로 타는 것인지 알 수가 없죠. 즉 데이터 처리나 통계, 텍스트를 검색해서 보여주는 것은 가능하지만, 인간과 비슷한 방식의 사고는 할 수가 없습니다. AI가 우리 세상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려면 멀티모달 AI의 등장은 필수적이었다고 봐야겠죠.

쉽게 설명하면, 먼저 수많은 우주비행사와 고양이, 농구공 사진을 학습해서 ‘이렇게 생긴 거구나’를 형태로서 이해하고 나면, 어떤 사진에서든 그 개체를 분별해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비행사는 우주유영을 어떻게 하고, 고양이는 어떻게 움직이고 앉아 있는지, 농구공은 어떻게 사용되는지 동작(move)을 이해하면 개체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게 되죠.

 

지금까지는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검색하는 정도로만 활용되는 단계인데요. 텍스트와 이미지, 개체 간의 관계를 통해 AI가 학습하는 ‘확산(diffusion) 모델’을 사용해서 지식을 축적하는 단계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멀티 모달 AI가 활성화되면 텍스트나 이미지로만 가능했던 활용 영역을 엄청나게 변화시킬 겁니다. 앞에서 예로 들었던 챗봇 AI는 단순하게 고객이 말하는 자연어를 분석해, ‘이 정보를 찾아달라고 하는구나’를 목적으로 하는 게 대부분이죠. 멀티 모달 AI라면 ‘번호판이 3X1234인 차량의 전면부가 크게 파손된 사진’만 보험사에 전송하면, 해당 차량이 가입된 보험 상품을 검색하고, 고객의 피해 정도가 얼마나 될지 예측한 다음 담당자와 고객에게 사고 접수와 처리를 바로 진행하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즉 정확한 상황 인지를 통해 조금 더 명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똑똑한 AI가 되는 거죠.

첩보영화에서나 보던 테러범의 이미지를 분석해 폐쇄회로TV(CCTV)에서 실시간으로 찾아내는 상상 속의 이야기가 현실이 될 것입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자율주행에서 필수적인 속도, 차선 위반, 운전자 상태, 날씨까지 여러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AI도 멀티 모달 기반으로 구현돼야 할 테고요. 의료계에서도 사람의 눈으로 알아낼 수 없는 질병의 초기 진단 및 원격 진료에서 크게 활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멀티 모달 AI는 사람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상을 인지하지만, 더욱 날카롭고 정확하게 분석해 낼 수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멀티 모달 AI에 대해 우려가 없는 건 아닙니다. 모든 AI의 가장 큰 위험 요소는 ‘딥페이크’ 같은 AI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짜가 범죄에 활용되거나, 편향되거나 폭력적인 이미지와 텍스트 등을 기반으로 학습돼 나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달리에서는 폭력과 혐오, 성인용 이미지는 학습 대상에서 제거하고, 공적인 인물을 포함해 실제 개인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달리의 결과물을 보면 사람 얼굴이 조금 이상하게 표현되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죠. AI의 미래는 사람과 동일한 책임이 따르도록 규제하는 것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달리에게 재미난 그림을 그려달라고 해보세요(한국경제, 2022. 11. 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협회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호 : (사)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ㅣ 사업자등록번호 : 511-82-07061

TEL : 070-4912-0047 | FAX : 070-7713-0047 | E-mail : goldfield2@naver.com

Copyright © 한국중소기업협업진흥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