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리더란… 공공선 위해 맞서 싸우고 희생하는 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1-02 22:11관련링크
본문
저자 템킨 하버드대 교수는 케네디스쿨에서 10년 넘게 역사와 리더십에 대해 강의해 왔다. 그가 관심을 갖는 리더는 스티브 잡스나 일론 머스크처럼 비상한 용인술을 발휘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저자는 정치인이나 사회활동가들을 골라 그들의 리더십이 자기 시대의 역사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아니면 그 반대로 역사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들여다본다. 저자가 시종일관 강조하는 리더가 갖춰야 할 덕목은 공공선의 추구다.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리더는 전사가 되고 주류에 맞서는 반란자가 되고 모두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성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책의 앞부분에 소개된 프랭클린 루스벨트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진정한 정치 리더란 어떤 사람인가 돌아보게 한다. 저자는 대공황 시기 미국을 이끈 두 대통령 허버트 후버와 루스벨트의 리더십을 자세히 비교한다. 후버는 지나친 원칙주의를 고수하다가 대중에게서 멀어졌다. 그로 인해 대공황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했던 정치 리더십 자체를 상실했다. 반면 루스벨트는 철저히 국민 속으로 들어갔다. 뉴딜 정책을 비롯해 그가 내놓은 여러 정책은 완벽하긴커녕 곳곳에서 하자를 드러냈음에도 유권자들에게 그가 국가를 위해 무언가 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는 데 성공했다. 1차 대전 상이군인들이 생활고를 해결해달라며 백악관 앞에 천막을 치고 농성하자 후버는 불법을 엄단한다며 발포해 사상자를 냈다. 반면 루스벨트는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을 정비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이런 조치들로 인해 좌파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감수했다. 훗날 루스벨트는 노변정담이라 불렸던 한 라디오 연설에서 이탈리아 파시즘과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을 예로 들며 이렇게 말했다. “그 나라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싫어해서가 아니라 (중략) 리더십 없이 갈팡질팡 헤매며 무력한 정부 탓에 진력이 났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결국 절망감 속에 자유를 희생하기로 선택한 겁니다.” 리더로서 자신은 미국이 민주주의의 위기에 빠지는 최악만은 막기 위해 뭐든지 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의 견해대로 진정한 리더라면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나라가 파국적 상황에 빠지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그것이 공공선을 이루기 위해 싸우고 맞서고, 때론 자신을 희생해야 하는 리더의 책무다(2024. 12. 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